Weekly DCU 796 호 | HEADLINE

[특집] 특성화 선정 사업단 8 – Dual Target 한국언어문화교육 사업단

on 2014년 09월 02일

2327 views

  

**중심학과 : 한국어문학부

   

한류(韓流)1990년대 말부터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드라마 및 가요 등의 대중문화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된 현상을 일컫는다. 1990년대 후반부터 가시화된 한류의 현상은 처음 드라마, 영화, 가요(K-POP), 게임 등의 대중문화의 해외유통과 소비 위주였지만 점차 패션, 음식, 한글 등 보다 폭넓은 한국 문화의 해외 진출로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한류가 확산되면서 해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습득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 전 세계 51개국 117개소의 세종학당에서 한국의 언어 및 문화교육을 실시(201310월 기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다민족, 국제화 사회로 전환되고 있어 전문적인 자질을 갖춘 교육기관과 질적 수준이 높은 한국어 교원 육성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우리대학은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통해 한국언어문화교육 혁신 프로젝트를 실현하고, 우리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릴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사회에 배출하고자 특성화 사업단을 구성하였다.

학부와 대학원, 그리고 국어국문학 전공과 연계된 대구·경북지역 유일의 한국어교육 전공을 개설한 우리대학은 인근 타대학에 비해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이 융합된 최적의 교육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국언어문화교육 사업단은 교육부가 지원하는 5년간 Dual Target 한국언어문화교육 혁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국어 교수법의 혁신화, 한국어 교원의 브랜드화, 전문 인력의 다재능화, 한국어교육의 현지화, Dual Target 한국어 교육의 패러다임 구축이라는 핵심과제들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특성화 교육과정은 크게 언어문화라는 2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특성화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 교과목은 모두 특성화 교육에 부합되도록 교과목을 전면 개편할 예정이며, 현장실무 경험이 풍부한 외부의 전문가를 활용함으로써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한국언어문화교육 사업단은 이러한 특성화 교육과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언어와 문화의 세계화에 앞장설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